감전사고의 원인과 예방대책 – 전기안전관리자의 필수 지식
✅ 감전사고란?감전사고는 인체가 전류에 노출되면서 근육 경련, 화상, 호흡정지, 심정지 등의 치명적인 결과를 유발하는 전기재해입니다. 특히 저압(AC 220V, 380V)에서도 치명적 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예방을 위한 이론적 이해와 실무 조치가 필수입니다.✅ 감전사고의 주요 원인감전은 주로 직접 접촉, 간접 접촉, 정전기 또는 이상전압 등의 형태로 발생하며, 그 원인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1. 설비적 원인절연불량: 노후 전선, 외피 손상, 전기기기의 절연열화접지 불량 또는 미설치: 누설전류가 인체로 흐를 가능성 증가누전차단기 미설치 또는 오작동: 감전 시 차단 기능 수행 실패정전기 또는 이상전압 유입: 설비 방전, 낙뢰, 역전류 등2. 작업자 요인전원 차단 없이 점검·정비PPE(절연장갑, ..
2025. 4. 25.
고압과 특고압 전기설비 보호방식 차이점 및 실무 적용 사례 총정리
✅ 1. 고압과 특고압의 구분전기설비에서 고압과 특고압은 전압 수준에 따라 구분되며, 이에 따라 설비 구조와 보호방식에도 큰 차이가 있습니다.구분전압 범위예시고압AC 1,000V 초과 ~ 7,000V 이하산업용 배전반, 수배전반특고압AC 7,000V 초과송전설비, 변전소, GIS✅ 2. 고압과 특고압 전기설비 보호방식의 차이점① 차단기 및 개폐기 종류고압MCCB(배선용 차단기), V-CB(Vacuum Circuit Breaker) 주로 사용용량 및 계통 간단 → 직접 차단 방식특고압GIS(Gas Insulated Switchgear), 유입차단기(OCB), 가스차단기(GCB) 사용대용량 및 원거리 계통 → 절연매질 다양화, 간접 제어 방식② 보호계전기 구성고압OCR(과전류계전기) 중심으로 구성단락·과부하..
2025.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