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 건축,전기,설비 자격증/전기안전기술사8

전기설비 접지방식 비교 – TT, TN, IT 시스템의 차이와 실무 적용 ✅ 접지방식이란?접지(Grounding)는 전기설비에서 이상전압이나 누전 발생 시 전류의 안전한 경로를 제공하여 인체와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핵심 기술입니다. 접지방식은 국제표준 IEC 60364에 따라 전원측 중성점과 노출도전부(기기 외함 등)를 어떻게 접속하는지에 따라 분류됩니다.✅ 접지방식의 분류 체계접지방식은 알파벳 두 글자로 표현되며, 각 문자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첫 번째 문자: 전원의 접지 상태T: 전원의 한 점이 직접 접지됨 (보통 중성점)I: 전원이 대지에 절연됨 또는 고저항으로 접지됨두 번째 문자: 전기설비의 노출도전부(기기 외함 등)의 접지 방식T: 별도의 접지 전극으로 직접 접지N: 전원의 접지점(중성선)과 직접 연결✅ 1. TT 시스템 (독립 접지 시스템)구분설명전원측중성점은 .. 2025. 4. 25.
감전사고의 원인과 예방대책 – 전기안전관리자의 필수 지식 ✅ 감전사고란?감전사고는 인체가 전류에 노출되면서 근육 경련, 화상, 호흡정지, 심정지 등의 치명적인 결과를 유발하는 전기재해입니다. 특히 저압(AC 220V, 380V)에서도 치명적 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예방을 위한 이론적 이해와 실무 조치가 필수입니다.✅ 감전사고의 주요 원인감전은 주로 직접 접촉, 간접 접촉, 정전기 또는 이상전압 등의 형태로 발생하며, 그 원인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1. 설비적 원인절연불량: 노후 전선, 외피 손상, 전기기기의 절연열화접지 불량 또는 미설치: 누설전류가 인체로 흐를 가능성 증가누전차단기 미설치 또는 오작동: 감전 시 차단 기능 수행 실패정전기 또는 이상전압 유입: 설비 방전, 낙뢰, 역전류 등2. 작업자 요인전원 차단 없이 점검·정비PPE(절연장갑, .. 2025. 4. 25.
재해의 직접적 원인과 간접적 원인 – 전기안전관리자가 알아야 할 핵심 개념 ✅ 재해 발생의 개요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감전, 화재, 폭발, 설비 오작동 등의 전기재해는 대부분 인간의 실수나 설비 결함에서 비롯됩니다. 재해를 방지하려면 그 발생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대응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전기안전기술사의 핵심 역량 중 하나입니다.✅ 하인리히의 재해 원인 3요소 이론미국의 안전공학자 하인리히(H. Heinrich)는 재해의 원인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습니다.직접적 원인 (Unsafe Act / Unsafe Condition)간접적 원인 (Personal or Job-related Factors)근본적 원인 (Organizational or Managerial Factors)이 중 시험이나 실무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직접적·간접적 원인 분석입니다.✅ 1. 재해의 .. 2025. 4. 25.
전기안전기술사의 직무 정리 – 법적 역할과 실무 범위 총정리 ✅ 1. 전기안전기술사란?전기안전기술사는 전기설비의 안전 확보와 전기재해 예방을 위한 최고 수준의 전문 자격자입니다.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최고등급의 전기 분야 기술사 자격으로, 이수 시 전기안전 분야의 책임 기술자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2. 전기안전기술사의 법적 직무범위전기안전기술사의 직무는 다양한 법령에서 명시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분야로 요약됩니다.📌 「국가기술자격법 시행령」 별표2전기설비에 대한 안전관리, 설계검토, 시공감리, 진단 및 평가전기재해 예방에 관한 계획 수립 및 기술지도전기안전 관련 기술검토 보고서 작성 및 안전성 평가📌 「산업안전보건법」위험성 평가 지도 및 계획 수립 참여전기설비에 대한 작업 공정 안전 검토 및 개선안 제시중대재해처벌법 대상 사업.. 2025. 4. 23.
고압과 특고압 전기설비 보호방식 차이점 및 실무 적용 사례 총정리 ✅ 1. 고압과 특고압의 구분전기설비에서 고압과 특고압은 전압 수준에 따라 구분되며, 이에 따라 설비 구조와 보호방식에도 큰 차이가 있습니다.구분전압 범위예시고압AC 1,000V 초과 ~ 7,000V 이하산업용 배전반, 수배전반특고압AC 7,000V 초과송전설비, 변전소, GIS✅ 2. 고압과 특고압 전기설비 보호방식의 차이점① 차단기 및 개폐기 종류고압MCCB(배선용 차단기), V-CB(Vacuum Circuit Breaker) 주로 사용용량 및 계통 간단 → 직접 차단 방식특고압GIS(Gas Insulated Switchgear), 유입차단기(OCB), 가스차단기(GCB) 사용대용량 및 원거리 계통 → 절연매질 다양화, 간접 제어 방식② 보호계전기 구성고압OCR(과전류계전기) 중심으로 구성단락·과부하.. 2025. 4. 23.
전기설비 위험성 평가 절차와 실무 적용 사례 – 전기안전기술사 핵심 이론 ✅ 1. 전기설비 위험성 평가란?위험성 평가(Risk Assessment)는 전기설비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요소를 식별하고, 사고 발생 가능성과 피해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선제적 대응책을 마련하는 체계적인 절차입니다.「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에 따라 사업주는 위험성 평가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해야 하며, 전기안전기술사에게는 이 과정의 설계 및 주도적 참여 역량이 요구됩니다.✅ 2. 전기설비 위험성 평가 프로세스위험성 평가는 다음과 같은 5단계로 수행됩니다.① 위험요인 식별 (Hazard Identification)전기설비 내 감전, 단락, 아크, 정전기 등 잠재적 위험요소 도출도면, 시방서, 현장 사진, 인터뷰 등 활용② 위험성 결정 (Risk Determination)발생 가능.. 2025. 4.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