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건축,전기,설비 자격증/전기안전기술사

전기안전기술사 필수 이론 - 인간에러가 산업안전에 미치는 영향과 모니터링 방법

by 희망포터 2025. 5. 4.
반응형

🔹 인간에러란 무엇인가?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재해의 80% 이상은 작업자의 실수, 즉 인간에러(Human Error)에서 비롯됩니다.
이는 기계적 고장보다도 훨씬 높은 비중이며, 전기 분야에서는 특히 감전, 화재, 설비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치명적입니다.


🔹 전기설비와 인간에러의 실제 사례

  • 고압 개폐기 점검 중 차단기 미차단 → 감전사
  • 정전작업 중 접지 누락 → 기기 폭발
  • 작업표지 미부착으로 3자 접근 → 2차 감전사고

이처럼 작은 실수 하나가 대형 재해로 이어지는 구조입니다.
인간에러는 단순히 ‘부주의’가 아니라 시스템의 설계·관리 문제와도 깊게 연관돼 있습니다.


🔹 인간에러의 유형 (Reason 이론 기반)

  1. 실수(Slip/Lapse) – 익숙한 작업 중 무의식적으로 발생
  2. 오판(Mistake) – 잘못된 정보나 절차 인식
  3. 규칙 위반(Violation) – 의도적으로 안전절차 무시
  4. 인지 실패(Perceptual Error) – 경고 표지 또는 경보의 인식 오류

전기안전기술사는 사고 발생 시 이러한 분류에 따라 원인을 분석하고, 시스템적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 인간에러 예방과 모니터링 방안

  1. 작업 전 체크리스트 운영
    작업자의 착오 방지를 위한 체크리스트와 교차점검을 활용합니다.
  2. 행동기반 안전관리(BBS)
    작업자의 반복적 실수 패턴을 관찰해 개선합니다.
  3. 디지털 기록 분석(CCTV, 웨어러블)
    스마트 안전장비와 영상 분석을 통해 실시간 위험 행동을 감지합니다.
  4. 피로·스트레스 관리
    인간에러는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부담에 의해 빈발하므로, 적절한 휴식 시간과 교대근무제 관리도 중요합니다.

🔹 전기안전기술사 실무 적용 포인트

  • 설계 시 실수 방지 설계(SF, Fail-safe) 적용
  • 정기 안전교육 시 인간공학(Human Factor) 강조
  • 사고조사 시 기술·인간요소 통합 분석
  • HRA(Human Reliability Analysis) 기법으로 정량 평가 가능

🔹 마무리

인간에러는 제거할 수 없는 리스크입니다. 하지만 관리 가능한 위험으로 만들 수는 있습니다.
전기안전기술사라면 설비기술뿐 아니라 사람 중심의 사고 예방 체계 구축 능력도 요구됩니다.
기술과 사람, 두 영역 모두를 이해하는 전문가만이 진정한 전기안전관리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습니다.


 

 

예스이십사

 

deg.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