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공동주택 관리62 🦺 아파트 근로자 ‘넘어짐 사고’ 예방 교육자료 총정리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은 일상 속 다양한 안전사고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특히 ‘넘어짐 사고’는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재해 중 하나로, 단순한 실수처럼 보이지만 심각한 부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번 4월 안전교육 주제는 바로 ‘넘어짐 사고 예방’입니다. 실사례를 통해 원인과 예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넘어짐 사고란?넘어짐 사고는 미끄러짐, 걸림, 헛디딤 등에 의해 사람이 바닥이나 계단, 경사면 등에서 중심을 잃고 쓰러지는 사고를 말합니다. 작업 중 자주 발생하며, 특히 미화원, 경비원, 급식 종사자 등 근무 특성상 이동이 많은 직종에서 빈번하게 일어납니다.⚠️ 사고 위험요인 정리바닥에 고인 물, 기름, 비닐, 눈 등 미끄러운 이물질울퉁불퉁한 바닥, 턱, 장애물작업 중 전선, 공구.. 2025. 4. 15. 🔌 지하주차장 전기차 충전기, 사용 안 해도 기본요금 나오는 이유와 해결 방법 최근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에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해 두었지만, 실제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전기차 보유 입주민들조차 충전기 사용을 꺼리는 이유 중 하나는 충전요금 외에 기본요금까지 부담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기본요금, 왜 나오는 걸까?전기차 충전기는 '전기 사용계약'이 별도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일반 아파트 공동전기와 별도로 분리해 계약한 것으로, 이 경우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매월 기본요금이 청구됩니다. 사용량이 0이라도 말이죠. 문제는 이 기본요금이 충전기 사용자가 아닌, 아파트 전체 공동전기료에 부담이 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공용시설로 인정되는 전기차 충전기전기차 충전기는 입주 시 설치되었고, 특정 세대가 아닌 공용설비입니다. 따라서 공동전기료에 포함되어야 하고.. 2025. 4. 15. [지하주차장 관리팁] 본드자국 깨끗하게 지우는 방법 총정리 1. 본드의 종류 파악하기본드를 지우기 전에 어떤 종류의 본드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일반 접착제 (목공용, 순간접착제 등)실리콘계 본드폴리우레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종류에 따라 제거제가 다르므로, 가능하면 시공업체에 사용한 자재를 문의해보는 것이 좋습니다.2. 물리적 제거법초기에 본드가 굳지 않았다면 스크래퍼(헤라)나 플라스틱 칼을 이용해 긁어낼 수 있습니다.단, 에폭시 바닥이나 도장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무리한 금속 스크래퍼 사용은 금물입니다.지하주차장 바닥 에폭시에 본드계열 접착제로 인한 바닥 손상 3. 화학적 제거제 사용굳어버린 본드는 전용 제거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아세톤(네일리무버): 순간접착제 계열 제거에 탁월.단, 바닥 재질에 따라 변색 가능성이 있으므로 소량.. 2025. 4. 12. “모르겠습니다”… 그 한마디가 입주민을 멀어지게 한다 아파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민원은 입주민의 생활과 직결되는 만큼, 관리사무소의 민원 응대는 단순한 안내를 넘어 입주민의 신뢰와 만족도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요즘 일부 아파트에서는 민원 응대의 질이 떨어져 입주민과 관리사무소 간의 신뢰가 무너지고 있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고 있습니다.가장 흔한 예로, 입주민이 어떤 사항을 문의했을 때 “모르겠습니다”라는 말로 대답을 대신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모든 직원이 모든 정보를 알고 있을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그 후의 태도입니다. “확인해보고 다시 안내드리겠습니다”라는 기본적인 책임감을 보여야 함에도, 단호하게 ‘모릅니다’라고만 답하거나, 무관심한 표정과 태도로 대응하는 경우 입주민은 실망을 넘어 불쾌함과 무시당했다는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2025. 4. 12. 판교테크노밸리 화재 이후 UPS 장비 검사 강화 - 법 개정과 그 영향 최근 판교테크노밸리에서 발생한 화재사고는 무정전전원장치(UPS)의 안전성에 대한 경각심을 높였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UPS 설비에 대한 사용전 및 정기검사를 의무화하는 법 개정을 단행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당 법 개정의 주요 내용과 그 영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법 개정의 배경판교테크노밸리의 화재사고는 데이터센터와 같은 중요 시설에서 UPS의 안전 관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부각시켰습니다.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고자 정부는 전기안전관리법 및 전기사업법 시행규칙을 개정하여 UPS를 공사계획인가(신고)와 사용전·정기검사 대상 설비에 포함시켰습니다.주요 개정 내용검사 대상 UPS의 범위 확대: 이차전지 용량 기준으로 20kWh를 초과하는 리튬·나트륨계 이차전지, 70kWh를 초과하는 납계 이차전지를 사용하.. 2025. 4. 8. 아파트 콘센트 전압 229V, 정상일까?|중국산 기기 손상 민원 대응법 최근 한 신규 아파트에서 콘센트에 꽂은 휴대폰 충전기가 타면서 콘센트까지 손상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전압 측정 결과, 콘센트에는 229V가 공급되고 있었고, 입주민은 과전압으로 인한 고장을 주장했습니다.📌 229V, 과전압인가요?대한민국 가정용 정격 전압은 220V이며, 허용범위는 ±6% (207V~233V)입니다. 따라서 229V는 법적 허용 범위 내에 있습니다.하지만, 문제는 일부 중국산 저가 기기가 정격 220V에 딱 맞춰 제작돼 있어, 229V에서도 과열 또는 절연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두 번째 민원 사례는 더 심각했습니다.콘센트에 사용 중이던 취침등이 탄 후, 접지선(G)과 공통선(N) 간 절연 파괴가 일어났고, 터치 조명 스위치에서 스파크와 발열이 발생했습니다. 이 역시 중.. 2025. 4. 5. 이전 1 2 3 4 ···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