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건축,전기,설비 자격증/전기안전기술사

도미노 이론과 재해 손실 비용 이론 정리

by 희망포터 2025. 4. 28.
반응형

1. 도미노 이론 (Heinrich’s Domino Theory)

하인리히(Heinrich)는 산업재해의 원인을 연쇄적인 사고 과정으로 설명하는 "도미노 이론"을 제시했습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다섯 개의 도미노가 순서대로 쓰러지는 것처럼, 하나의 재해도 여러 원인이 연속되어 발생합니다.

하인리히의 5단계 도미노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

  1. 사회적 환경과 유전적 결함
    • 개인의 성장 과정이나 유전적 특성이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침
  2. 개인의 불안전 행동과 결함
    • 부주의, 무지, 태만 등 개인적 문제 발생
  3. 불안전 행동 및 불안전 상태
    • 작업자의 실수 또는 설비 불량 등의 위험 발생
  4. 사고
    • 위험이 현실화되어 사고가 발생
  5. 재해
    • 사고로 인한 부상 또는 손실

👉 핵심은 가운데(불안전 행동·상태) 도미노를 제거하면 이후 사고와 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2. 버드의 신도미노 이론 (Bird’s Updated Domino Theory)

버드(Bird)는 하인리히 이론을 현대적으로 수정하여 ‘관리 부실’을 재해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추가했습니다. 신도미노 이론은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버드의 신도미노 이론

버드의 5단계 신도미노

  1. 관리 부실(Management Failure)
    • 안전관리 미흡, 교육 부족, 절차 미비 등
  2. 기본적 원인(Basic Causes)
    • 개인적 결함 또는 작업환경 문제
  3. 직접적 원인(Immediate Causes)
    • 불안전한 행동 또는 상태
  4. 사고(Incident)
    • 사람, 물체, 에너지 간의 충돌
  5. 손실(Loss)
    • 인적, 물적 손해 발생

👉 버드는 관리적 요인을 가장 앞에 두어, 재해 예방을 위해 조직 차원의 시스템 개선이 중요함을 강조했습니다.


3. 재해 손실 비용 (Cost of Accident)

재해가 발생하면 기업은 눈에 보이는 직접 비용 외에도 많은 간접비용을 부담합니다. 하인리히는 "보이지 않는 비용"이 직접비용보다 훨씬 크다고 주장했습니다.

재해 손실 비용의 구분

  • 직접비용
    : 치료비, 보상금, 설비 수리비 등
  • 간접비용
    : 생산손실, 작업중단, 사기 저하, 이미지 손실, 신규직원 교육비 등

하인리히의 법칙에 따르면,

“1건의 중대재해 뒤에는 29건의 경상사고, 300건의 아찔한 상황이 존재한다.”

이는 사소한 사고나 위험 징후를 방치하면 결국 중대재해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4. 정리 및 시사점

  • 도미노 이론은 "불안전 행동/상태" 제거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신도미노 이론은 "관리 시스템"의 개선이 재해 예방에 핵심임을 강조합니다.
  • 재해는 직접비용뿐 아니라, 간접비용까지 고려할 때 막대한 손실을 유발합니다.
  • 따라서, 사고 예방은 단순히 개인 주의만으로는 부족하고, 조직적인 안전문화 구축이 필수입니다.

✅ 포인트 요약
"개인의 실수"가 아니라, "조직의 관리"가 재해를 예방하는 핵심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