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건축,전기,설비 자격증/전기안전기술사

감전사고의 원인과 예방대책 – 전기안전관리자의 필수 지식

by 희망포터 2025. 4. 25.
반응형

✅ 감전사고란?

감전사고는 인체가 전류에 노출되면서 근육 경련, 화상, 호흡정지, 심정지 등의 치명적인 결과를 유발하는 전기재해입니다.
특히 저압(AC 220V, 380V)에서도 치명적 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예방을 위한 이론적 이해와 실무 조치가 필수입니다.


✅ 감전사고의 주요 원인

감전은 주로 직접 접촉, 간접 접촉, 정전기 또는 이상전압 등의 형태로 발생하며, 그 원인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1. 설비적 원인

  • 절연불량: 노후 전선, 외피 손상, 전기기기의 절연열화
  • 접지 불량 또는 미설치: 누설전류가 인체로 흐를 가능성 증가
  • 누전차단기 미설치 또는 오작동: 감전 시 차단 기능 수행 실패
  • 정전기 또는 이상전압 유입: 설비 방전, 낙뢰, 역전류 등

2. 작업자 요인

  • 전원 차단 없이 점검·정비
  • PPE(절연장갑, 절연화) 미착용
  • 작업 절차 미준수 및 교육 미이수
  • 습기 있는 상태 또는 비오는 날 야외작업

3. 관리적 요인

  • 정기점검 미흡
  • 감전위험 구역 표지 미설치
  • 감전사고 사례 전파 및 교육 부재
  • 기술자문 없이 전기작업 수행

✅ 감전 위험 전류의 기준 (인체 영향)

전류(mA)인체에 미치는 영향
1~2 mA 거의 느낌 없음 (감지 전류)
5~10 mA 전기 자극 느낌, 이탈 가능
20~50 mA 호흡근 경련, 의식 혼미
100 mA 이상 심실세동, 치명적 결과 가능

교류 50~60Hz 기준. 특히 30mA 이상의 전류가 심정지를 유발할 수 있음.


 

✅ 감전사고 예방대책

1. 기술적 대책

  • 누전차단기(ELB) 설치 및 주기적 테스트
    → 감전사고 발생 전 0.03A 이상 누전 발생 시 자동 차단
  • 접지 시스템 확보 (제1종/제2종/특별 제3종 등)
    → 누설전류를 인체가 아닌 접지선으로 흐르게 유도
  • 절연 상태 주기적 진단
    → IR테스터로 절연저항 측정 (1,000V 기준 1MΩ 이상 유지)
  • 전선 및 케이블 정비
    → 외피 손상 여부 확인 및 노후설비 교체

2. 작업자 보호 대책

  • 절연장갑, 절연화, 헬멧 등 PPE 착용 의무화
  • 활선작업 금지, 작업 전 전원차단 확인
  • 1인 단독작업 금지 및 감시자 배치
  • 비상시 전기 차단 스위치 위치 사전 교육

3. 관리적 대책

  • 정기교육 및 위험 구역별 특별 안전교육
    → 교육 이수 여부 점검 및 사고사례 공유
  • 전기설비 정기점검 및 자체 위험성 평가
    → 고위험 설비 집중관리, 열화예측 진단기법 활용
  • 감전사고 발생 시 체계적인 응급대응 매뉴얼 마련
    → AED 비치, 인공호흡 교육, 응급 대응 훈련

✅ 실무 중심 예방사례

구분사례예방조치
공장 내 감전사고 변압기 2차측 전선 피복 손상 ELB 설치, 절연보호 튜브 보강
아파트 전기실 감전사고 배전반 활선 점검 중 PPE 미착용 작업절차서 준수, 교육 및 점검체계 강화
옥외 전등 유지보수 감전 비오는 날 전기설비 접근 작업중지 지침 마련, 절연작업대 사용

 


✅ 마무리

감전사고는 단 한 번의 실수로 생명을 위협하는 재해로 이어질 수 있으며,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전기안전기술사는 감전사고 예방을 위한 설계·점검·교육·기술지도 전반에 대한 책임자로서, 다음과 같은 마인드가 요구됩니다.

“작업자의 실수가 아니라, 관리자의 부주의가 감전사고를 부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