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1. 전기설비 위험성 평가란?
위험성 평가(Risk Assessment)는 전기설비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요소를 식별하고, 사고 발생 가능성과 피해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선제적 대응책을 마련하는 체계적인 절차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에 따라 사업주는 위험성 평가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해야 하며, 전기안전기술사에게는 이 과정의 설계 및 주도적 참여 역량이 요구됩니다.
✅ 2. 전기설비 위험성 평가 프로세스
위험성 평가는 다음과 같은 5단계로 수행됩니다.
① 위험요인 식별 (Hazard Identification)
- 전기설비 내 감전, 단락, 아크, 정전기 등 잠재적 위험요소 도출
- 도면, 시방서, 현장 사진, 인터뷰 등 활용
② 위험성 결정 (Risk Determination)
- 발생 가능성(빈도) × 피해 강도(심각도) 로 위험등급 산정
- 정량 평가 기준 도입 (예: 1~5등급 또는 색상 매트릭스)
③ 위험성 우선순위 설정
- 위험도가 높은 항목부터 시급한 개선조치 수행
④ 개선대책 수립 및 실행
- 기술적(차단기, 접지 등) / 관리적(절차, 교육 등) 방안 도출
- 위험제거 또는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감소
⑤ 이행점검 및 재평가
- 개선조치 완료 후 주기적 재평가 필요 (설비 변경 시 포함)
✅ 3. 전기설비 위험성 평가 기법 예시
기법특징활용 사례
JSA (Job Safety Analysis) | 작업 단위별 위험요소 분석 | 활선 작업, 정전 점검 |
FTA (Fault Tree Analysis) | 사고 원인을 논리적 트리로 도출 | 화재 발생 경로 분석 |
HIRA (Hazard Identification and Risk Assessment) | 종합적인 위험도 평가 방식 | 변전설비, MCC 설계 단계 |
📌 기술사 시험 팁: “위험성 평가 기법 → 실무 적용 → 평가 결과 반영 방안” 흐름으로 작성
✅ 4. 실무 적용 사례 분석
사례 1: 저압 분전반 내 감전사고 예방 위험성 평가
- 위험요인: 누전 시 외함에 전위 발생 → 감전
- 위험도 분석: 발생 빈도 높음 / 피해도 높음
- 개선 대책: 보호접지 강화, 누전차단기 교체, 외함 도통저항 측정 주기화
사례 2: 옥외 변전소 서지 피해 위험성 평가
- 위험요인: 낙뢰 시 설비 손상
- 위험도 분석: 빈도 중 / 피해 심각
- 개선 대책: SPD 설치, 낙뢰 다중접지망 구축
사례 3: MCC 반 내 케이블 단락사고 예방
- 위험요인: 케이블 피복 손상 및 과부하
- 위험도 분석: 빈도 중상 / 피해도 중
- 개선 대책: 열화상 점검 정기화, 차단기 정격 재검토, 배선 정리 및 피복 보강
✅ 5. 정리 및 기술사 시험 대비 포인트
- 위험성 평가 → 기술적 개선 대책 → 정량적 결과 반영 구조를 기억
- 실무 중심의 사고 사례를 바탕으로, 사전 예방 중심의 서술 방식을 유지
- “사고 발생 → 분석 → 조치”가 아닌, “발생 전 예방”이 핵심 키워드
✅ 마무리
전기설비의 위험성 평가는 단순한 형식적 절차가 아니라, 실제 사고를 예방하고, 인명과 자산을 보호하는 핵심 안전관리 전략입니다.
전기안전기술사로서 실무 적용 가능성과 개선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평가 역량은 고득점의 필수 요소입니다.
반응형
'2. 건축,전기,설비 자격증 > 전기안전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해의 직접적 원인과 간접적 원인 – 전기안전관리자가 알아야 할 핵심 개념 (3) | 2025.04.25 |
---|---|
전기안전기술사의 직무 정리 – 법적 역할과 실무 범위 총정리 (0) | 2025.04.23 |
고압과 특고압 전기설비 보호방식 차이점 및 실무 적용 사례 총정리 (0) | 2025.04.23 |
전기설비의 위험요소와 기술적 보호대책 총정리 – 전기안전기술사 필수 개념 (1) | 2025.04.22 |
전기안전기술사 필수 개념! 산업안전 기본 완벽 정리 (1)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