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동주택

아파트 전기차 화재대비 필수가이드

반응형

아파트 단지에서 전기차 화재에 대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안전한 주차와 대피를 위한 필수 가이드를 제시합니다.

희망포터, 전기차화재대비

 

1. 전기차 전용 주차 공간 충전 구역 확보

 - 충전 구역 위치 선정: 전기차 충전 구역을 건물에서 떨어진 곳에 배치해 화재 발생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 소방 차량 접근 용이성: 소방 차량이 신속하게 접근할 있도록 주차 공간을 설계합니다.

 

 2. 화재 감지 경보 시스템 강화

 - 감지기 설치: 충전 구역 주차 공간에 감지기를 설치해 화재 발생 신속히 감지할 있도록 합니다.

- 경보 시스템 연계: 화재 감지기와 연동된 경보 시스템을 설치해 화재 발생 경보를 울리고 관리사무소에 즉시 통보합니다.

희망포터, 충전구역 연기 및 열화상 감지기 설치

 

3. 소화 장비 배치

 - 소화기 설치: 전기차 충전 구역 주차 공간에 적절한 소화기를 배치합니다. 특히, 전기 화재에 적합한 소화기(: ABC 분말 소화기) 준비합니다.

- 소화 설비 보강: 필요시 화재 초기 진압에 효과적인 자동 소화 시스템(: 스프링클러) 설치합니다.

 

4. 정기적인 점검 유지보수

 - 설비 점검: 충전 시설 전기 시스템을 정기적으로 점검해 안전성을 유지합니다.

- 화재 안전 점검: 소방 안전 점검을 주기적으로 실시해 모든 소화 장비와 경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5. 입주민 교육 훈련

 - 화재 대피 훈련: 입주민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화재 대피 훈련을 실시해 비상 신속히 대피할 있도록 합니다.

- 화재 예방 교육: 전기차 충전 주의사항, 화재 발생 초기 대응 방법 등을 교육합니다.

 

6. 비상 대응 계획 수립

 - 비상 연락망 구축: 화재 발생 신속히 연락할 있도록 관리사무소, 소방서, 전기차 소유자 비상 연락망을 구축합니다.

- 비상 매뉴얼 작성: 화재 발생 대처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 비상 매뉴얼을 작성해 모든 입주민에게 배포합니다.

 

    --- 전기차 화재 발생 시 대처 방법 ---

 1. 화재 감지: 충전 전기차에서 연기가 발생하면 감지기가 이를 감지해 경보를 울립니다.

2. 신속한 대피: 경보를 들은 입주민은 즉시 대피하고, 관리사무소에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립니다.

3. 초기 진화 시도: 관리사무소 직원이나 인근 입주민이 소화기를 사용해 초기 진화를 시도합니다.

4. 소방서 연락: 초기 진화가 어렵다면 즉시 119 연락해 화재 상황을 알리고, 소방차가 신속히 접근할 있도록 주차 공간을 확보합니다.

5. 안전 유지: 입주민은 대피 안전한 곳에서 대기하며, 관리사무소는 상황을 계속 모니터링하고 소방대와 협조합니다.

 

이러한 조치들을 통해 아파트 단지 전기차 화재 발생 피해를 최소화하고, 입주민의 안전을 확보할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서 배터리 하부에 냉각시스템을 설치하여 이상 시 누구나 발견하면 즉각 비상버튼으로 작동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면 더욱 좋겠지만, 비용도 만만치 않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