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근 낮과 밤의 일교차가 커지고 있습니다.
아침저녁으로는 선선하고, 낮에는 무더위가 지속되면서 주택이나 건물 내 환기 불량 공간에서 결로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하주차장과 같이 햇빛이 들지 않고 바람길이 막힌 공간에서는 바닥은 물론 벽면까지 물이 흐르듯 습기가 맺히는 현상이 자주 발견됩니다.
✅ 결로 현상이란?
결로는 쉽게 말해, 공기 중 수증기가 찬 표면에 닿아 물방울로 변하는 현상입니다.
공기 중에는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는데, 기온이 내려가면서 이슬점(노점) 이하가 되면 수증기가 응결되어 벽이나 바닥에 물방울이 맺히게 됩니다.
👉 특히 여름철에는 습도가 높고, 지하 공간은 환기와 온도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결로가 심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 결로가 심한 공간의 특징
- 지하주차장, 폐쇄된 창고, 벽체 내부 등
- 외부 공기 순환이 거의 없고, 햇볕이 들지 않음
- 벽체나 바닥이 차가워 수증기 응결이 쉽게 발생
- 주변 벽면에 물자국 또는 물이 흐른 흔적 발생
- 심한 경우 누수로 오해받을 정도로 지속적인 습기 발생
✅ 결로가 위험한 이유
- 바닥이 미끄러워 낙상사고 유발
- 차량 타이어 및 금속 자재의 부식 촉진
- 벽체 및 마감재 곰팡이 번식
- 전기설비 습기 침투로 인한 감전 위험
✅ 결로 예방 및 처리 방법
- 환기 확보
- 가능한 곳에 자연 환기구 개방
- 송풍기나 환기팬 설치로 공기 순환 유도
- 제습 관리
- 산업용 제습기 또는 흡습제 비치
- 벽면 및 바닥 건조 유도
- 물기 닦아낸 후에도 습도 모니터링
- 표면 온도 관리
- 외부 단열재 보강
- 열교(열의 흐름이 집중되는 부분) 차단 공사 고려
- 미끄럼 주의 안내
- 미끄러짐 사고 예방을 위한 주의 표지판 설치
- 필요시 논슬립 코팅제나 미끄럼 방지매트 활용
- 정기 점검 및 기록
- 결로 발생 시기, 위치, 기온, 습도 등을 기록 관리
- 주기적인 점검으로 재발 방지
결로는 단순한 습기 문제가 아니라 사고 위험과 시설 손상의 주요 원인입니다.
특히 지하 공간이나 환기가 어려운 장소에서는 지속적인 관리와 예방 조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여름철이나 환절기, 일교차가 심한 날에는 더욱 주의하세요!
💡 TIP:
공용 공간(지하주차장 등)에서 결로가 계속된다면 관리사무소나 시설팀에 알리고 기술적 대책(제습설비, 환기구 보완 등)을 요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반응형
'2. 공동주택 관리 > 법규 행정 및 안전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관리비 체납 시 대응 절차-연체이자 12%, 전기요금 소급신청까지 (1) | 2025.05.31 |
---|---|
여름철 근로자 건강관리 이렇게 하세요! 산업안전교육 필수 포인트 총정리 (1) | 2025.05.30 |
밀폐공간 작업 시 꼭 알아야 할 위험성과 응급조치 요령 총정리 (0) | 2025.04.28 |
MSDS란? 화학물질 안전관리의 시작! 근로자라면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 (0) | 2025.04.22 |
전기안전관리자의 직무 고시 개정 정리 (2024년 7월 1일 시행)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