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 공동주택 관리/법규 행정 및 안전관리

밀폐공간 작업 시 꼭 알아야 할 위험성과 응급조치 요령 총정리

by 희망포터 2025. 4. 28.
반응형

봄철부터 여름철까지 다양한 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밀폐공간 작업도 늘어나는 시기입니다.
하지만 밀폐공간은 환기가 부족하고, 예상치 못한 산소결핍이나 유해가스 노출로 인해 질식, 중독,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매우 높은 곳입니다.


오늘은 밀폐공간의 정의, 위험성, 그리고 응급조치 요령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밀폐공간이란?

밀폐공간이란, 환기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산소결핍(산소농도 18% 미만)이나 유해가스 존재로 인해 건강장해, 화재, 폭발 위험이 있는 공간을 말합니다.
※ 대표적인 예시:

  • 정화조
  • 보일러 출구
  • 폐유 저장탱크
  • 상수도 맨홀
  • 곡물 저장창고 등

작업 중 산소결핍 환경이 새롭게 형성될 수 있는 곳도 포함되니 주의해야 합니다!


밀폐공간 작업의 위험성

  1. 산소결핍 위험
    • 산소농도 15% 이하로 떨어지면 신체조절 기능 손상, 정신혼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6% 미만이면 4분 이내 사망 위험.
  2. 일산화탄소 중독
    • 200ppm 이상 노출되면 두통, 구토를 동반한 심각한 중독 증상이 발생.
    • 고농도(>2000ppm) 노출 시 단시간 내 의식불명 및 사망 가능.
  3. 황화수소 중독
    • 500ppm 이상에서 의식불명, 1,000ppm 이상에서는 수분 내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밀폐공간 사고 예방 수칙

  • 작업 전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농도 측정
  • 필수 보호장구 착용 (공기호흡기, 송기마스크 등)
  • 감시인 배치상시 연락체계 구축
  • 출입통제 및 경고 표지판 설치
  • 정기적인 안전교육과 훈련 (6개월 1회 이상)

응급조치 요령

  1. 질식 사고 발생 시
    • 즉시 119 및 사업장 책임자에게 신고
    • 호흡용 보호구 착용 후 재해자 구조
    • 무장비 진입 절대 금지! 구조자 2차 피해 주의
    • 구조가 불가능하면 외부에서 구조대 도착을 기다릴 것
  2. 심폐소생술(CPR) 시행
    • 심정지 발견 즉시 신고 ➔ 심폐소생술 ➔ 제세동기 사용 ➔ 전문구조대 연결
  3. 사고 이후 조치
    • 사고현장 보존 및 산업재해 발생 보고
    • 3일 이상 휴업 재해 시 산업재해조사표 제출

밀폐공간은 평소 아무렇지 않아 보이더라도 순식간에 생명을 위협하는 공간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평소 대비만이 생명을 구합니다."
모든 사업장과 근로자들은 밀폐공간 작업 시 위험성과 대응요령을 철저히 숙지하고 실천해야 합니다.

안전수칙을 지키는 것이 가장 강력한 생명보험입니다!

반응형